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육아휴직 급여 휴직기간 신청,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기준 육아휴직 급여와 신청 안내아이가 태어난 후에도 커리어를 이어가고 싶은 직장인 부모들에게 육아휴직은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육아휴직 제도와 급여 기준, 부모 동시 사용 시 보너스 제도, 신청 방법, 계약직 가능 여부까지 꼭 필요한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육아휴직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일정 기간 근로를 중단할 수 있도록 보장된 제도입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부모 각각 1년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같은 자녀에 대해 엄마와 아빠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부가 같은 회사에 다니는 경우에는 회사 규정에 따라 동시 사용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하루 1.. 2025. 3. 29.
새출발기금 대상 신청 25년 확대 운영 지원 규모는? 정부가 운영 중인 ‘새출발기금’이 2025년부터 더 넓은 범위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를 확대했습니다. 채무 조정에만 그치지 않고, 점포 철거 지원부터 취업·창업 준비, 신용 회복까지 재기 전 단계를 폭넓게 지원하는 종합 제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누가 대상이 되는지, 어떤 지원이 가능한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순서대로 정리해드립니다. 새출발기금이란 ‘새출발기금’은 코로나19로 인해 대출을 받은 이후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위한 채무조정 프로그램입니다. 이 기금은 2022년 10월부터 시작되어 최대 3년간 신청이 가능하며, 총 30조 원 규모로 마련됐습니다. 일부 보조금은 피해 사업체에 대해 60~80%까지 지원되기.. 2025. 3. 28.
출산휴가 기간 급여 계산 신청 방법 최대 금액 얼마? 출산휴가는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건강한 출산과 회복을 위한 법적 권리로, 출산을 앞둔 예비 엄마라면 누구나 궁금해지는 질문이 있습니다. “출산휴가는 얼마나 쉴 수 있을까?”, “그 기간 동안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출산휴가의 기간, 급여 기준, 수령 예시,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산휴가 기간 출산휴가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여성 근로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기본적으로 총 90일(쌍둥이 이상은 120일)의 휴가가 보장되며, 그 중 출산 후 45일 이상은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출산 전후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의사 소견에 따라 예정일보다 일찍 휴가를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출산휴가 급여 계산출산휴가 급여는 고용보험과 회사(사업주)가 함께 부담.. 2025. 3. 27.
민주당의 ‘전세 10년 보장’ 정책에 대한 생각 1. 민주당의 ‘전세 10년 보장’ 정책 발표최근 더불어민주당 민생연석회의에서 ‘전세 10년 보장’을 포함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정책은 전세 계약 기간을 최장 10년까지 보장하고, 신규 계약 시에도 임대료 인상률 상한을 적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즉각 반대 입장을 내놓으며 “시장 원리를 무시한 정책이 오히려 임차인들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 당시 시행된 임대차 3법(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이 전세 시장을 왜곡시켜, 결국 임차인들의 부담을 가중시켰다는 점을 지적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19904?sid=100).. 2025. 3. 16.
우리은행의 추가 대출 규제와 가계대출 현황에 대한 생각 1. 우리은행 추가 대출 규제 시작최근 우리은행이 무주택자를 포함해 “비대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는 뉴스가 발표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은행은 11월 5일부터 12월 8일까지 우리WON전세대출(주택보증) 등 여러 비대면 대출 상품의 신규 가입과 갈아타기 신청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조치는 상황에 따라 조기 종료될 수도, 연장될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은행은 같은 날부터 신용대출 우대금리도 최고 0.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러한 모든 조치는 현재 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연초 금융당국에 제출한 목표치인 2% 수준을 크게 넘은 6.8%에 이르렀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석되고 있다. 2. 개인적인 생각대출 규제 강화가 멈출.. 2024. 11. 4.
혼란스러운 부동산 시장 - 디딤돌 대출 규제 및 전세자금 대출 규제의 영향에 대한 생각 정리 다음은 연합 뉴스의 기사 제목이다. '오락가락' 디딤돌대출, 비수도권은 축소 안한다…유예기간 부여 실제로 최근 대출 정책이 혼란스럽다.특히, 디딤돌 대출 규제와 전세 자금 대출 규제에 대해서 시끌시끌하다.   1. 디딤돌 대출 규제디딤돌 대출은 부부합산 연 소득이 6천만 원 이하이고, 무주택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인 경우에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주택담보대출상품이다. 다만, 생애최초로 주택을 사는 것이거나, 2자녀 이상일 경우는 7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는 8,500만 원 이하로 완화된 조건이 적용된다. 그 외에도 본인 및 배우자 합산 순자산 가액이 4억 6,900만원 이하인 경우에 신청 가능하다.  디딤돌 대출은 금리가 낮고, DTI가 적용되는 장점이 있지만, 그 한도가 최고 2.5억원.. 2024.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