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 해외 주식 투자자 증가와 국내 주식 시장의 현황 - 코스피는 답이 없는 건가? 기사를 보니, 올해 해외 주식 투자자가 이미 전년도보다 50만명 늘어난 71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반면에 국내 주식 투자자는 2020년 919만명에서 2022년 1440만명으로 늘었다가 2023년에는 1415만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라고 한다. 다만, 미국 주식 관련 3분기 이후 국내 투자자들의 순매수 1위는 SOXL ETF라고 불리는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3배 추종 ETF였고, 2위는 테슬라 주가를 2배 추종하는 TSLL ETF고 한다. 1. 상황에 대한 생각주변에서도 "국내 주식은 답이 없다", “미국 주식이 답이다”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실제로 주가 상승률을 보면 미국 대표 주가지수인 S&P500은 올해 들어 23% 오른 반면 코스피는 1.7% 하락했다고 하고, 대만 자취엔지수.. 2024. 10. 14. 기준금리 0.25%p 인하 - 3년 2개월 만에 인하, 그 영향은? 10월 11일 금리가 인하되었다.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1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p) 낮췄다. 체감 물가와는 다르다는 반응은 있지만, 2%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달성했기 때문에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로 인한 인플레이션 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2021년 8월 0.25%p 인상 이후 3년 2개월만에 진행되었다. 이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는 상황이다. 1. 부정적 시각 – 부동산 시장과 가계 대출 문제에 대한 우려금리가 낮아지면 가계 대출이 다시 증가하고, 부동산 가격이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수도권 집값 급등세가 9월 이후 어느 정도 진정되고, 가계 대출 증가폭이 월간 최대 기록이었던 8월보다 감소하였으나, 이는 추.. 2024. 10. 12. '5대은행 9월 주담대 신규취급 감소폭 5%에 그쳐'라는 기사를 읽고 - 과연 감소폭이 너무 작다고만 평가할 수 있을까? 9.29에 가계대출 억제책에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이 크게 늘지 않았다는 뉴스가 있어서 관련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928047000002?input=1195m 1. 9월 대출 현황전체 가계대출 잔액 증가 폭은 생활안정자금용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등을 중심으로 지난달의 절반 수준까지 축소됐지만,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총액의 감소율은 연휴를 빼면 5%라고 한다. 즉, 9월 기준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규모는 1일 평균 3천412억원으로 이는 7월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한다. 다만, 가계대출 잔액의 증가폭은 2020년 11월(+9조4천195억원)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던 8월 증가 폭(+9조6천259억원)의 약 43% 수준으.. 2024. 9. 30. 서울 아파트 매매·전세값 모두 주춤 - 아직은 더 지켜볼 때가 아닐까? 최근 대출 규제가 이어지고 있다.개인적으로는 대출 총량이 규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내리는 것도 방법이 되지 않을까 싶긴 한데 어떻게 될지 궁금하긴 하다. 어쨌든 오늘 아래와 같은 기사를 봐서 어떤 상황인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대출 그렇게 막더니…서울 아파트 매매·전세값 모두 주춤 – 매일경제 1. 매매 시장 – 매매가격 지수 상승폭 감소 및 매매수급지수 하락세26일 한국부동산원의 9월 넷째 주(23일 기준)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2% 올라 27주 연속 상승했다고 한다. 다만, 상승폭은 8월 둘째 주 0.32% 오르며 5년 1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0.28%→0.26%→0.21%→0.23%→0.16%→0.12% 등으로 대체로 상승 폭이 .. 2024. 9. 26. 미국의 4년만의 금리 인하...0.5%p '빅컷' 단행 - 우리 나라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될까? "미 연준, 4년만의 금리 인하...0.5%p '빅컷' 단행 - YTN" 미국이 기준 금리를 0.5%p 인하하였다.언제는 0.25%p 인하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았던 것 같은 데 이번에 4년만에 기준 금리를 0.5%p 인하하였고, 이에 대해서 불경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좋은 신호가 아니라고 보는 입장도 있고, 금리 인하로 인하여 소비와 투자가 살아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보는 입장이 있는 상황이다.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해서 다른 관점은 있지만, 미국 금리 인하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살펴보았다. 1.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미국이 0.25%p가 아닌 0.5%p 를 인하한 것은 미국 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경.. 2024. 9. 19. 홍춘욱의 최소한의 경제 토픽 - 정말 최소한으로 경제적인 측면으로 세계를 살펴보기 최근 '홍춘욱'님의 책인 ‘홍춘욱의 최소한의 경제 토픽’을 읽어 보았다. 저자인 '홍춘욱'님은 책도 많이 쓰시고, 블로그도 열심히 하시고, 최근에는 유튜브에도 많이 나오시는 분으로, 현재, 프리즘투자자문 대표이시다. 개인적으로 팬은 아니고, 그냥 오랜만에 책을 읽고 그에 대한 감상을 남겨보고자 한다. 1. 책에 대한 간략한 소개이 책은 『미국의 제조업 위기와 돌아온 ‘트럼프 열풍’』이라는 소제목으로 시작해서 『저개발국의 구원투수가 될 인공지능의 경제학』이라는 소제목으로 마무리되고 있으며, 총 14개의 토픽을 다루고 있다. 세계예서 벌어지는 여러 사건들을 경제적인 측면에서 통계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본인의 생각을 설명하고 있으며, 각 토픽이 마무리될 때마다 ‘바쁜 어른을 위한 시사점’이라는 파트를 추.. 2024. 9. 1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